책 리뷰

[책 읽는 즐거움] 타일러 코웬의 ‘거대한 침체’

조지메이슨대 경제학부 교수인 타일러 코웬의 ‘거대한 침체’를 배송받은 날 바로 읽었다. 160쪽 정도의 얇은 책이기 때문에 한 두 시간만 투자하면 읽을 수 있다.

최근 나는 후배와 앞으로의 경제 침체를 얘기하면서 향후 예측하기 어려운 큰 경제 침체와 인플레이션의 가능성을 논한 적이 있다. 그러한 전망인가 했지만 예상과는 달리 이 책은 매우 가볍게 읽을 수 있는 현 시점에서의 우리가 받아들여야 하는 경제의 몇가지 특성과 흐름에 관한 책이었다. 에세이 수준에 해당한다고 하면 너무 가볍게 얘기하는 것일지 모르지만 대부분의 주장이 본문에서는 그 근거와 데이터 또는 학술적 연구를 소개하지 않고 참고 섹션를 봐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사실 이 책이 왜 이코노미스트의 올해의 책에 선정되었는지 잘 이해가 가지 않을 정도로 경제 칼럼 수준의 글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읽는 과정에서 느끼는 지적 희열을 맛볼 수는 없다.

코웬의 분석은 대부분 미국 경제와 소비자들에 대한 얘기이기 때문에 글로벌 수준의 시각으로 바라볼 수는 없다. 다만 일부 얘기는 서구 문명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는 것이 그나마 전체를 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 경제 위기 배경의 진실로 그가 주장하는 것은 더 이상 과거와 같이 쉽게 딸 수 있는 과일 (무상의 토지, 기술적 약진, 교육 기회의 확대)이 주어지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그 근거로 미국 일반 가계의 평균소득 증가율의 둔화 (1973년부터), 기술 혁신 비율의 급락 (1995년 이후), 다수가 아닌 소수의 재화를 창출하는 혁신, 생산성 향상의 역작용, 정부 소비 비중의 증가가 실질적 경제성장과 국민생활 수준의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보여주고 있지 못함 등을 제시하고 있다.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의료서비스 지출의 증가는 미국의 경우에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에 좀 예외로 치고 싶다 (오바마의 의료개혁을 매우 비판적으로 보고 있다). 폴 크루그만의 ‘새로운 미래를 말하다’를 매우 강도 높게 비판하는 그의 글을 크루그먼 책과 같이 샀다는 게 내게는 무척 아이러니 하다.

코웬의 입장은 매우 헷갈린다, 보수의 문제도 진보의 문제도 다 지적하면서 경제의 위기는 ‘과신’에서 온 것이며 이제 당분간 고성장을 기대하지 말라고 한다. 이 책이 왜 논란의 대상이 되는 지 알겠다. 누구는 그를 이 시대의 토마스 프리드만이라고 불렀다는 점을 보면 그는 매우 자유경제 주의자로 봐도 틀린 것은 아닐 것이다. 게다가 그는 지금 미국이 사회민주주의 체제라고 보고 있다 (가장 그의 견해가 믿어지지 않는 부분이다).

내가 이 책에서 제일 흥미롭게 본 부분은 인터넷의 역할이다. 인터넷은 어쩌면 매우 마법적인 기술 혁신일지 모르지만 아직 그 효과가 경제 시스템에 매우 긍정적으로 드러난 것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 점은 장하준의 ‘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에서 인터넷이 경젱에 준 역할이 세탁기만도 못하다는 견해와 선을 같이 하는 점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인터넷이 GDP의 증가와 고융 증대 효과에 있어서 그다지 영향이 크지는 않다는 점을 지적한다. 인터넷에 대한 그의 재미있는 평가는 아래와 같은 표현이다 (책 126쪽)

사람들의 소득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을 통해 많이 배우고 재미를 느낀다. 인터넷의 이런 점 때문에 사람들은 경지 침체를 잘 견디었다. 그러나 그런 인터넷의 장점이 경기침체를 더욱 가속화시켰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터넷에 빠져 소비지출을 쉽게 줄였다.

[그러나 인터넷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른 자료가 있다. 맥킨지 글로벌 인스티튜트에서 2011년 5월에 발간한 ‘Internet matters: The Net’s sweeping impact on growth, jobs, and prosperity‘라는 보고서에서 인터넷 경제는 G-8 국가를 포함한 13개 개발국가의 GDP 3.4%에 해당한다. 이는 스페인이나 캐나다의 GDP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게다가 지난 5년간의 GDP 성장의 21%를 차지하며 기술 효율로 없어진 1개의 일자리에 대해 2.6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10% 끌어올린 것도 인터넷 기술의 적용이라고 맥킨지는 보고 있다.]

해결 방안은? 코웬이 제시하는 해결 방안은 근본적으로 과학적 혁신이다. 첫 째가 중국과 인도가 보여주는 과학과 공학기술에 대한 관심, 둘 째로 인터넷이 앞으로 더 큰 수익 창출을 하고 과학자들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 점, 세번 째가 교육제도의 질과 책임체제의 획기적 개선 등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코웬이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주장은 ‘과학자의 지위를 높이자’ 라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서 가장 맘에 들었던 표현이다.

결론적으로 지금 우리가 겪는 경기 침체와 경제 위기는 한 마디로 ‘사람들이 실제보다 부유했다고 생각했다’ 라는 그의 표현대로 지나친 과신과 착시, 지속적 고성장 가능성에 대한 관성적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고 이는 앞으로 우리에게 새로운 따기 쉬운 과일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매우 겪고 싶지 않는 저성장의 시대가 올 것이라는 것을 코웬은 강조한다. 그 희망을 과학적 혁신으로 바라다 보는 기술결정론자 같은 시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좀 의아하긴 하다. 경제학자인데…

기본